• 최종편집 2024-04-27(토)
 
  • 책 읽기를 좋아하는 자로서 늘 읽을 거리를 제공하는 세상 모든 저자들에게 고맙고 감사하다

9788965133520.jpg

 

  

‘지식 소상인’을 자처하며 활발하게 글쓰기를 하는 작가 유시민이 2015년에 쓴 『유시민의 글쓰기 특강』을 읽으면서 크게 공감한 것 세 가지를 말하고자 한다.

 

첫째, 왜 우리는 글쓰기를 배워야하는가? 글을 써야하는 시대이기 때문이다. 우리는 하루에도 수많은 카톡과 문자를 수시로 주고 받는다. 개인적인 사소한 글이지만 이것도 결국 글쓰기이다. 학창 시절에는 학업을 위해 글쓰기가 필요하고, 사회에 나와서는 직장생활을 위해 글쓰기가 필요하다. 이처럼 글쓰는 것은 삶과 땔 수 없다. 이에 대해 유시민은 이렇게 말한다.

 

그런데 글쓰기는 두 가지 특별한 점이 있다. 바로 그 특별함 때문에 사람들은 글을 잘 쓰고 싶어 하고, 또 글쓰기를 두려워한다. 첫째, 세상이 글쓰기를 요구한다. 우리는 때때로 쓰기 싫어도 글을 써야만 한다. 학업과 진학, 취업을 위해서다. 직장에서 일을 하면서도 글을 써야 한다. 정보통신혁명으로 인해 인터넷 메신저든 전자우편이든 글로 소통하면서 일상 업무를 처리하는 전문 직종이 계속 늘어나고 있다. 글을 잘 쓰지 못하면 사는 데에도 지장이 많다. 둘째, 사람들은 글 잘 쓰는 이를 부러워하며 심지어는 우러러본다. 글쓰기 실력을 단순한 기능이 아니라 지성의 수준을 보여주는 지표로 간주하기 때문이다. 글이 글쓴이의 지능, 지식, 지성, 가치관, 삶의 태도를 보여준다는 것은 다툴 여지가 없다. 글을 잘 쓰려면 일단 표현할 내면의 가치가 있어야 한다. 아는 게 많아야 한다. 다양한 어휘와 정확한 문장을 구사할 수 있어야 한다(p 258). 

 

둘째, 그런데 글은 글 쓴 사람과 분리할 수 없다. 글이 힘을 갖기 위해서는 자기가 쓴 글처럼 사는 사람이어야 한다. 그래서 설교학에서는 ‘설교자인 메신저와 설교의 내용인 메시지는 분리할 수 없다’, ‘메신저가 메시지’라는 말을 한다. 매국노 이완용이 아무리 애국에 대해 그럴듯한 글을 써도 그 글은 아무 가치가 없는 것과 같다. 유시민이 이것을 언급한 것을 보면서 “큰 깨달음”을 얻었다. 기자가 아무리 그럴듯한 주장의 글을 써도 그의 삶이 그렇지 않으면 외면받을 수 밖에 없다는 것을 자각했다. 기자가 아무리 좋은 내용의 글을 써도 그 기자가 어떤 사람이라는 것을 아는 독자는 그 글을 외면할 것이다. 내게 있어 이것은 이 책을 읽고 얻은 가장 큰 수확이었다. 이에 대해 유시민은 다음과 같이 말한다.

 

기술은 필요하지만 기술만으로 잘 쓸 수는 없다. 잘 살아야 잘 쓸 수 있다. 살면서 얻는 감정과 생각이 내면에 쌓여 넘쳐흐르면 저절로 글이 된다. 그 감정과 생각이 공감을 얻을 경우 짧은 글로도 사람들의 마음을 움직이고 세상사에 영향을 줄 수 있다. 기술만으로는 훌륭한 글을 쓰지 못한다. 글 쓰는 방법을 아무리 열심히 공부해도 내면에 표현할 가치가 있는 생각과 감정이 없으면 아무런 소용이 없다. 훌륭한 생각을 하고 사람다운 감정을 느끼면서 의미 있는 삶을 살아야 그런 삶과 어울리는 글을 쓸 수 있게된다. 논리 글쓰기를 잘하려면 합리적으로 생각하고 떳떳하게 살아야 한다. 무엇이 내게 이로운지 생각하기에 앞서 어떻게 하는 것이 옳은지 고민해야 한다. 때로는 불이익을 감수하고서라도 스스로 옳다고 생각하는 원칙에 따라 행동할 수 있어야 한다. 기술만으로 쓴 글은 누구의 마음에도 안착하지 못한 채 허공을 떠돌다 사라질 뿐이다(pp. 261-164).

 

셋째, 글쓰기를 잘 하기 위해서는 결국 노력이 필요하다. 글쓰기를 힘들어 하는 사람들이 많다. 그런 사람들에게 유시민은 다음과 같은 방법을 제안한다.

 

글쓰기에는 철칙(鐵則)이 있다고 생각한다. 첫째, 많이 읽어야 잘 쓸 수 있다. 책을 많이 읽어도 글을 잘 쓰지 못할 수는 있다. 그러나 많이 읽지 않고도 잘 쓰는 것은 불가능하다. 둘째, 많이 쓸수록 더 잘 쓰게 된다. 축구나 수영이 그런 것처럼 글도 근육이 있어야 쓴다. 글쓰기 근육을 만드는 유일한 방법은 쓰는 것이다. 여기에 예외는 없다. 그래서 철칙이다(p 62).

 

15년간 담임목회를 하다 “어쩌다 기자”가 된 나로서 다행인 것은 어렸을 때부터 책 읽기를 좋아했다는 것이다. 지금도 꾸준히 다양한 책을 읽고 있다. 이면은 글을 써야하는 기자로서 다행이다. 또한 기자는 글을 쓰는 사람이다. 다행히 목회할 때 주로 원고 설교를 했기에 글쓰는 훈련을 계속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제 전문 기자로서 글을 써야하기에 매일 한 건 이상의 글을 쓰는 것을 목표로 글을 쓰고 있다. 행사가 있다면 취재 기사를 싣겠지만 늘 행사가 있는 것은 아니다. 그때는 이처럼 책 읽은 것에 대한 기사를 싣든지 아니면 수필, 개인 생각 등 다양한 글을 쓸려고 노력한다. 이 모든 것이 더 좋은 글을 쓰기 위한 기자의 몸부림이라고 생각하고 어여삐 봐주시기를 바란다.

 

나는 독서가 취미라 다행이다. 취재 외에 밖으로 나가는 것을 좋아하지 않고, 그저 집 안에서 이 책 저 책 읽는게 좋고, 또 도서관에서 대출 신청하면 집 근처 수유역까지 배달해 주니 책 사는데 돈 쓸 필요도 없고, 책둘 공간도 없기에 매번 책을 대출해 읽으면서 즐거운 생활을 하고 있다. 이또한 감사한 일이다.      

 

 

KakaoTalk_20230118_122958123.jpg

 

태그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북토크】메신저가 메시지다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